내가 사는 그 곳 햄버거 메뉴

목차

    반응형

    급속한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국내에서 강력한 거리두기가 시행될 경우 취업자 3명중 1명 꼴로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어려울 것이라는 예견이 나왔다. 실직 위험은 저학력·저소득 등 취약층에 집중돼 양극화가 더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은 18일 낸 코로나19에 대한 고용취약성 측정 및 평가보고서에서 우리나라에서 재택근무가 어려운 일자리의 비중은 전체 취업자의 74%로 미국(58%)과 유럽연합(EU) 평균(66%)에 견줘 상당히 높아 고용 취약성에 큰 영향을 준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 필수직이 아닌 일자리의 비중은 42%, 대면접촉이 많은 일자리는 55% 수준으로 조사됐다. 숙박·음식업이나 서비스, 판매직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 비필수직이면서 재택근무도 힘든 일자리의 비중은 35%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재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가 강력한 봉쇄조처에 나설 경우 취업자 셋 중 하나는 정상적으로 일을 하고 싶어도 무급휴직이나 일시휴직으로 전환할 처지에 놓일 수 있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이러한 일자리는 음식서비스, 매장판매, 기계조작 등 저숙련 노동이 대부분으로 단기적으로 실직위험에 크게 노출돼 있다고 말했다.

     

     

    계층별로 보면 저소득, 저학력, 청년, 여성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취약성이 높았다. 고졸 이하 학력자가 비필수, 비재택, 고대면접촉 직업에서 일할 가능성이 대졸 이상에 비해 7~24%포인트 높은 것으로 추정됐다. 청년층(15~29)은 비청년층(30살 이상)에 비해 이런 일을 할 확률이 4~12%포인트 높았다. 이는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재조정이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인 올해 3~6월 중 취업자수 감소의 대부분은 취약한 일자리에서 발생했다. 비필수, 비재택, 고대면접촉 일자리가 취업자수 감소에 영향을 준 비율(기여율)은 각각 106%, 77%, 107%로 조사됐다. 비필수 일자리의 기여율이 106%라는 것은 전체 취업자가 100명 감소할 경우 비필수직 취업자는 106명이 줄고 대신 필수직은 6명 늘어난다는 의미다. 봉쇄조처가 이뤄지지 않았는데도 이런 현상이 나타난데 대해 보고서는 고용주나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봉쇄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해외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대구·경북 지역의 고용악화 상황은 봉쇄가 이뤄진 미국·영국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필수 일자리는 일시휴직보다는 해고를 중심으로 고용 조정이 이뤄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일시휴직자 증가의 상당부분은 비재택근무와 고대면접촉 일자리에서 나왔다.

     

    반응형
    댓글
    위쪽 화살표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하트)과 댓글을 부탁드려요.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