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신문 좀 보나 52
깜깜한 경기 속 바뀌는 세금 제도 정리
전 세계가 코로나로 많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많은 분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다방면으로 경기부양에 힘쓰고 있다. 재난지원금, 고용안전지원금, 아동돌봄수당 등이 있다. 거기에 정부는 22일 세법 개정안을 발표하였다. 오늘은 세금감면 혜택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바뀌었는지 알아보자. 카드 소득공제 올해는 카드 소득공제의 한도를 30만 원씩 늘어난다. 본인이 사용한 돈이 본인 소득의 25% 이상이 되면 그 초과분부터 일정 비율로 소득공제 된다. 하지만 소득구간별로 공제 한도가 있는데, 이 한도를 올해 모든 소득 구간에 대해서 30만 원씩 늘려준다. 올해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는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는 330만, 7천만~1억 2천만 원 280만, 1억 2천만 원 ..

부산 최초의 민식이 법 적용 사고 그 판결은?
올해 가장 핫한 이슈 중 하나를 꼽으라면 민식이법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법안 발의부터 지금까지도 많은 논란들이 생겨나고 있다. 기본적으로 어린이보혹구역 즉 스쿨존에서 어린이들의 안전을 지키지 위한 것이 이법에 취지일 텐데,, 아직까지도 예방을 위한 법인지 처벌을 위한 법인지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리고 올해 3월 처음으로 부산에서 민식이법에 적용을 받는 사고가 발생되었고 이 사고에 대한 법원의 판결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 사건에 대해 법원의 판결에 대해 알아보자 지난 3월 31일 부산 수영구의 스쿨존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던 초등학생을 차량으로 충격한 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초등학생은 오른쪽 다리에 타박상 등이 생겨 2주간 치료를 받았다. 재판부는 "어린이보호구역은 ..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들의 소비기한을 알아 보자
마트에 가게되면 1+1, 2+1등의 제품들과 대용량으로 구매하면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어 그렇게 구입 한 제품들은 냉장고에서 지내다 유통기한이 지나 버려지곤 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음식들은 맛을 보면 괜찮은 것 같은데 또 막상 먹으려 하면 께름직한 마음이 드는건 어쩔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유통기한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유통기한은 1985년 도입된 식품 유통을 위한 최종시한을 뜻합니다. 이 기한을 넘긴 식품은 부패 또는 변질되지 않았더라도 판매를 할 수 없습니다. 유통기한은 식품위생법에 따라 식품 제조ㆍ가공업체는 자체적인 실험으로 정하고 이를 해당 관청에 신고 후 승인을 받으면 됩니다. 하지만 유통기한 표시방식은 안전성이 우수한 반면, 소비 가능한 식품까지 폐기를 유도한다는 지적이 늘어나고 ..

냉동 아이스팩은 재활용 분리수거? 처리 방법은?
요즘은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고, 온라인 쇼핑이 발달하며, 거기에 코로나 시국까지 겹쳐 마트나 시장에서 쇼핑을 하는 일이 많이 줄어들고 온라인 쇼핑을 즐기는 인구나 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당일배송, 새벽배송 서비스가 생겨나면서 택배 이용자는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고 있다. 택배의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부가적인 문제점들이 생겨나고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쓰레기 문제이다. 당일배송, 새벽배송이 생겨나면서 각 택배사들이 경쟁적으로 속도전에 뛰어들면서, 상품들은 한 번에 포장하는 합포장 시간이 줄어들어 상품마다 바로바로 포장하여 배송하는 방식이 늘고 있어 포장재가 많이 사용되고, 그만큼 늘어난 기본 포장인 박스와 상품 파손을 예방하기 위한 완충제 등과 박스를 봉인하기 위한 테이프 등이 쓰레기 문제를 야기시키..

언택트 시대 이제 5060도 한다. 언택트란 무엇인가?
최근 코로나로 전 국민이 사회활동이 멈춰있는 상황이다. 바깥활동이 줄어들며 특히 외식, 쇼핑 업계의 불황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주목을 받는 것이 있는데 바로 언택트 서비스들이다. 우선 언택트의 뜻에 대해 알아보자 언택트는 접촉(contact)이라는 말과 부정을 뜻하는 ‘un'을 결합해서 만든 신조어로 사람과 사람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음을 뜻한다. 서비스나 상품의 제공 과정에서 무인기술이나 인공지능, 로봇 배송과 같은 첨단 기술 등과 기기가 개입하여 직접적인 대면이 없이 재화와 서비스가 제공되는 상황이나 그런 사회적 트렌드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미 우리 곁에 언택트 서비스는 많이 다가와있다. 패스트푸드점에 무인 키오스크나, 무인 상점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
